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

사회행동의 구체적인 전략과 전술

728x90
반응형

사회행동의 구체적인 전략과 전술

다들 힘내세요. 포기하지 않으면 성공합니다.


들어가기


사회행동은 지역사회 주민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결정에 대해 주민들의 통제력 향상을 위한 집단 노력이다.

정부당국, 대기업이 선택한 결정이 주민의 복지에 반할 수도 있다.

이 때 주민들이 단합된 힘을 보여 그들에게 유리한 결정이 되도록 영향력을 행사한다.

사회행동의 전략과 전술에 대해 알아보자.



사회행동의 전략

전략상의 문제.


적대 대상을 이겨내기 위한 힘을 어디서 얻을 것인가.

전개하는 운동이 일반 지역주민에게 합법적으로 보이기 위하여 어떻게 전술을 선택할 것인가.

다른 조직으로부터의 협력을 구할 것인가.
아니면 단독으로 할 것인가.

압력전술, 법적전술, 시위활동 중 어떤 전술을 활용할 것인가.

어떠한 협상을 할 것인가.

대상 집단을 이기기 위한 전략.



사회행동 집단과 반대집단과의 힘겨루기로 승자는 힘이 있는 쪽이 된다.

힘이란 자기의 뜻대로 반대 없이 자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능력이다.

완력, 권위, 명예, 지식을 말한다.

힘의 원천을 아래 표와 같다.

정보력.

정보를 정부당국에게 제공할 수 있는 힘을 말한다.


불편과 손해.

건축현장에서 시위 전개하거나 공사를 지연시킨다.


피해를 입힐 수 있는 잠재력.

상대방에게 알린다.


상대 약점을 드러내어 공격

공무원, 정치인의 약점을 언론에 노출한다.


사람을 동원할 수 있는 능력.

주민의 강한 저항을 보여 준다.



사회행동 캠페인의 합법성을 확보하는 전략.

목적에 맞는 전술 선택한다.

기존의 법질서를 해쳐서는 안 된다.

폭력은 금물이다.

과격한 전술은 역공격 자초하게 된다.

사회지도층이 인정하는 전술을 활용한다.




지역사회의 타조직과 협력하는 전략.

타조직과 맺을 수 있는 협력관계는

협조(cooperation).

조직은 자체의 계획을 전개하면서 필요에 따라 일시적인 협력이다.

참여는 높여도 기본전략은 불변한다.



연합(coalition).

참여 조직들 간의 이슈와 전략을 합동으로 선택한다.

장기적인 성격의 문제일 경우 좋다.

각 개 대표자 선정, 운영위원회 구성하여 관심사를 협의한다.


동맹(alliance).

가장 고도의 조직적인 협력관계이다.

영구적이고 전문적인 직원을 둔 대규모 조직 관계망 갖게 된다.

각 조직들은 각각의 이슈에 대해서 계속적인 협의를 할 필요가 없으며, 전문 직원들이 회원조직을 대표하여 필요한 로비활동을 하게 된다.

회원조직들에게 기술적인 지원 제공. 전국동맹의 대표들은 지방회원조직과 다소 유리될 가능성이 있다.

전국적인 동맹은 광범위한 이슈에 역점을 둔다.

지방조직들의 당면한 이슈보다 극적이고 상징적인 활동을 지지한다.



전술을 연결시키는 전략.



압력전술(pressure).

상대조직이 자체의 게임에서 패배하도록 노력한다.

법의 규정을 바꾸는데 활용한다.



법적전술(legal).

지키지 않는 규칙을 준수하도록 하는 것이다.



항의전술(protest).

게임이 공정하지 못하다고 판단을 내리고 새로운 규칙을 만들어낸다.


협상을 전개하는 전략


먼저 협상의 토대가 되는 갈등의 범위를 어느 정도로 할 것인지 결정한다.

갈등의 범위가 좁으면 해결은 용이하지만 문제가 발생할 때마다 협상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갈등의 범위는 해결이 가능할 수 있을 정도로 넓게 잡는다.

상대방이 심한 위협을 느끼고 막강한 대응조치를 강구할 정도로 넓게 잡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슈 선정시 상대방도 무엇인가를 얻을 수 있는 여지를 주는 것이 필요하다.



결론


사회행동의 전략과 전술에 대해 알아보았다.

사회행동이란 지역사회 주민들이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결정에 대해 주민들의 통제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집단적인 노력이다.

명심해야 할 부분이 몇 가지 있다.

사회행동 모델은 지역사회의 기존 제도와 근본적인 현실 변화를 추구, 소수인종집단, 학생운동, 여성해방운동, 노동조합, 복지권 운동 등에 있어 사회복지사는 권력, 자원 등의 재분배를 추구한다.

기본정책의 변화를 추구한다.

민주주의 입각해 보다 많은 자원과 향상된 처우를 그 지역사회에 요구한다.

그리고 합법적인 전략과 전술, 협력 또는 단독, 협상 등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