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그문트 프로이트 소개, 정신분석이론의 인간관과 주요 개념

프로이트 소개
프로이트는 1856년 오스트리아에서 태어나서 1939년에 사망하였다.
오스트리아 빈대학교 의학 박사 (1873 ~ 1881)로서 심리학자이자 의사였다.
오스트리아의 생리학자, 정신병리학자, 정신분석의 창시자이다.
1936년 영국학술원 객원회원, 1882년 오스트리아 빈 대학교 부속병원, 1876년 에른스트르리케 생리학 연구소 연구원으로 근무하였다.
체코의 유태계 가정에서 출생하여 권위적이고 나이 많은 아버지, 상대적으로 아버지와 나이 차이가 많이 나는 젊고 매력적인 어머니 슬하에서 성장하였다.
유년시절 빈으로 이주하여 그곳에서 대학에서 의학을 공부하였고 1938년 나치의 박해를 피해 런던으로 망명하였다.
심적과정의 병리학적 연구로부터 심적 작용의 변화를 생리학적 원인에 귀착시켜 설명하는 속류 유물론적인 방법을 거부함과 동시에 유물론 일반을 부정하고 심적 작용의 연구에 객관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것도 거부하였다.
히스테리 연구를 통하여 뇌신경생리학에서 마음과 무의식에 대한 관심으로 전환되었다.
자유연상을 통하여 무의식 속에 잠재된 기억과 감정을 의식화하는 치료 발전시켰다.
1899년 『꿈의 해석』출간으로 세간에 주목을 받기 시작, 1909년 미국에서 『정신분석 오강』을 발표하면서 명성을 얻었다.
반백년 동안 프로이트는 정신분석이론을 독자적으로 발전시켰다.
정신분석이론의 인간관
1. 기계적 인간관 : 모든 인간의 현상은 물리학과 화학법칙에 의하여 설명 가능하다.
2. 수동적, 비합리적 인간관 : 인간은 기본적 생물학적 충동과 무의식적 본능에 의해 행동하며 자유의지, 자기결정과 합리적 선택의 능력이 없다고 본다.
3. 결정론적 인간관 : 인간의 기본적 성격구조는 5세 이전의 경험 속에 잠재된 심리성적 사건들에 의해 결정된다.
4. 투쟁적 인간관 : 인간은 무의식적 내적충동이 야기한 긴장을 해소하고 쾌락을 극대화하려하고 사회는 이러한 인간의 본성을 통제하려고 한다. 인간은 이러한 사회적 요인과 지속적으로 대항하는 존재이다.
정신분석이론의 주요 개념
1. 에로스(eros) : 삶의 본능. 생명을 유지, 발전시키고 사랑을 하게 하는 본능이다.
2. 타나토스(thanatos) : 죽음의 본능. 생명체가 무생물체로 돌아가려는 본능으로 잔인성, 공격, 자살, 그리고 살인과 같은 것이다.
3. 리비도 : 본능적인 성적 에너지를 의미한다.
행동과 사고의 동기가 된다고 간주한다.
특히, 프로이트는 모든 본능이 근본적으로 성적인 것이라고 믿었기 때문에, 아동의 경우에도 생식을 할 수는 없을지라도 아동의 성적 충동이 환상, 문제해결, 사회
적 상호작용 등에 작용한다고 보았다.
리비도는 처음에는 협의의 성적 에너지로 생각 되다가, 점차 타인과 친밀하고 유쾌한 접촉을 갖고자 하는 모든 욕구를 총망라하는 광범위한 의미로 사용된다.
'좋은 부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용산 삼각지역 보양식 가마솥염소요리 (3) | 2022.11.01 |
---|---|
성남 푸짐한 음식점 옥동 소뼈탕 (0) | 2022.11.01 |
유성 계룡스파텔 숙박 국화축제 족욕후 숙면을 취하다 (0) | 2022.10.29 |
대전 대덕구 맛집 황토기와집 호박죽 보쌈 해물칼국수 파전 보리밥 주차 (0) | 2022.10.28 |
남한산성 경성빵공장 볼거리, 주차정보 등 (0) | 2022.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