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국 지역사회조직 사업의 역사,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이 미친 영향 비교

728x90
반응형

미국 지역사회조직 사업의 역사,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이 미친 영향


용산역 남도 사진전(2021년 11월 19일) 메타세콰이어길



들어가기



미국 지역사회실천의 시기별 역사, 미국 지역사회실천을 통해 사회사업의 실천체계가 확립된 발달사,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운동이 미친 영향을 비교해서 알아보자.



미국 지역사회조직 사업의 역사

자선조직화운동 시기(1865-1914년)


미국의 지역사회조직사업의 출현 시기는 남부전쟁이 종료된 이후로 보고 있다. 자선조직협회 운동과 인보관 운동이 지역사회 조직사업에 전문화의 원동력이 되었다. 하지만 지역사회조직은 사회사업의 전문분야로서 정체성을 갖지는 못했다.

지역공동모금과 협의회 발전시기(1914-1929년)

산업화와 도시화 그리고 인종간의 갈등이 가속화되었다. 흑인들의 생활수준이 호전되고 취학율도 상승하였다. 당시 정신분석이 주요한 지적세력으로 등장하였으며 사회조건을 개선하려는 개혁적인 노력보다는 개인을 치료하여 사회환경에 보다 잘 적응하도록 노력하였다. 자선가들이 지원금의 효율적인 사용과 끊임없는 지원요청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재정적 지원을 위해 생겨난 지역공동모금제(Community Chest and United Fund)와 각 지역사회기관의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사회가 당면한 문제와 앞으로의 요구를 미리 찾아내기위하여 사회복지협의회를 조직하였다.



공공복지사업의 발전시기(1929-1954년)


대공황과 제2차 세계대전으로 모든 사회제도의 큰 변화를 경함한 시기로 실업증가와 증권시장 도산, 집과 농장과 영세사업체를 잃은 국민이 속출하였다. 이 시기에 미국 역사상 처음으로 연방정부가 사회보장법과 최저임금법을 제정하였다.

지역사회조직과 사회사업과의 관계에 관한 것 논쟁이 이루어지고 지역사회조직이 사회사업의 합벚적인 형태인가의 문제가 존의되었다. 지역사회조직의 목표는 지역사회의 결속력 강화와 사회문제 예방이었다. 지역사회조직에서의 사회복지사의 적절한 역할에 대해 강조하였다.

지역사회조직의 정착시기(1955-1974년)


매카시즘이 끝나고 흑인차별을 금지하는 대법원의 결정이 공표되었다. 민권운동, 학생운동, 연방정부의 사회개혁 프로그램, 베트남전쟁 등이 있었다.
지역사회조직에 종사할 사람들에 대한 교육이 대학원 수와 학생의 수에 있어 현저한 증가하였으며 사회사업가협회도 지역사회조직사업위원회(Committee on Community Organization)를 구성하여 전문분야가 발전시켰다. 지역사회 조직에 대한 지식을 집대성하고 사회사업 영역을 전문 분야로 인정하기 위한 연구자료 준비도 있었다.

민간영역에서의 지역사회실천(1975년 이후)


민영화의 물결이 강하게 밀려오고 공공부문의 중요성이 감소하게 되었다. 민간기업들이 급속하게 증가하였다. 기업중심, 특권이 삶의 모든 영역을 지배하는 것으로 변화하였다. 공공재와 공공참여보다는 사적 개인주의의 문화를 더욱 강조하는 세계에 살고 있다.

사회복지대학의 교육이 사회행동에서 과정 지향적이며 기관간의 계획과 조정의 전통적인 형태로 나타났으며 1980년대에 지역사회실천은 관리와 행정을 강조하였다.

민영화추세와 함께 결합한 보수주의 정치경제의 영향의 기조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자선조직협회가 미친 영향


참여기관들로부터 구호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개인이나 사례의 명단을 열거한 사회서비스 목록(social service indexes or exchange)을 만들었다.

사례 분석회의(case conference). 유사한 사례나 유사한 상황에 처한 가정에 관심을 가진 수많은 사회복지 기관(인보관, 구빈기관, 아동수용기관, 아동학대 예방서비스 기관, 방문간호사 협회)의 직원들이 모여 각 사례에 대한 원조방안을 모색하였다.

자선조직협회는 사회, 경제적 문제에 관한 광범위한 연구와 분석을 하여 특정 조치를 건의하였다. 자선조직협회는 정부의 구빈활동이 빈민의 재활을 위해 도움이 안 된다고 생각하여 빈민을 구호를 받을 ‘가치가 있는 빈민’과 ‘가치가 없는 빈민’으로 구분하여 가치가 있는 빈민만 원조. 나머지 악성적인 빈민은 정부 구빈기관에 맡겨 그 지역사회의 최저임금수준 이하의 원조를 받게 하고 자립을 위한 노력을 하게 했다.

다른 기능으로 다양한 사회문제의 개선과 해결을 위해 자선기관들과 협력적인 계획을 모색하였다. 새로운 사회복지기관을 건립하고 낡은 기관을 개혁하는 활동을 전개하였다. 자선조직협회 지도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했던 활동으로는 임대주택법의 개정, 결핵퇴지협회의 설립, 소년 법원과 교정을 위한 입법 활동, 요보호아동을 위한 기관과 사업의 설립, 걸인과 유랑자 단속을 위한 경찰과의 협력, 집을 떠난 부(夫)에게 자녀의 부양의무를 부과하는 입법을 지지하였다. 또한 지역사회계획 전문기관을 설립하고, 사회조사 기술의 발전을 도모하였다.


인보관의 사회활동과 사회에 미친 영향


인보관의 구체적인 사회활동


공립학교 탁아사업, 급식, 심신 장애인을 위한 특수교육, 직업교육을 지도 요구하였다.지역마다 공원 조성, 주택법규 개선, 도시계획을 통한 밀집주거 지역현상의 해소, 공립학교를 지역사회센터로 활용하자는 요구하였다. 이민보호연맹 조직하고 근로여성 보호, 아동노동 폐지 입법을 위해 투쟁. 전국아동위원회 등 결성하였다. 시와 구 단위의 개혁활동에 참여, 1912년 창당된 진보당의 정강의 작성과 조직에 참여하였다. 인보관은 1891년 6개에서 시작하여 1910년 400개 이상 설립. 주로 동부와 중서부의 공업도시에 설립되었고, 남부와 서부에는 별로 없었다.

인보관이 미친 영향


인보관 활동은 사회개혁적인 측면을 강조. 사회개혁을 통해 지구상에 하느님의 왕국을 건설한다는 신교의 사회복음화운동과 긴밀한 연관을 맺고, 빈곤지역에 뛰어들어 주민들과 함께 생활하면서 그들의 복지에 장애가 되는 환경과 제도를 개혁하려고 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