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복지의 개념, 궁극적인 목적, 특성
지역사회복지의 개념
지역사회복지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지역사회복지가 조직적이며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활동이다. 지역사회의 긍정적인 변화와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개입을 통해 거시적인 사회사업에 접근하는 하나의 방법이다.
거시적인 개입을 하는 사회복지사는 자신의 광범위한 지식과 기술을 활용하여 지역사회가 사회적 자아를 강하게 형성하고, 사회집단을 촉진하며, 사회적인 일이나 문제에 더욱 참여하도록 돕는 일을 하게 된다.
지역사회복지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았다. 아래에서 정리한 것처럼 지역사회복지의 궁극적인 목적과 지역사회복지의 특성,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의 일반적인 가치 7가지, 지역사회실천에서의 참여를 위한 목적을 살펴보자.
지역사회복지의 목적과 특성
지역사회복지의 궁극적인 목적
지역주민의 고통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그들의 자발적인 실천과정을 통해 문제 해결에 대한 자신감과 실천능력을 키우는 것이다. 능력 개발을 통해 새로운 문제 해결이나 욕구 충족을 실현할 역량을 갖추게 되어 한 지역사회가 스스로 복지사회를 향해 나아가게 된다.
지역사회복지의 특성 5가지
① 실천적 서비스 분야이다. 개인 및 집단에게 서비스를 직접 전달하여 효과를 산출한다. ② 국가의 이념이나 정책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지방화 시대에 부합하는 제도, 기능, 조직, 인력, 재정 측면에서 지방정부가 중심 역할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③ 지역주민의 ‘생활관과 생활권’을 배경으로 한 사회적 욕구 및 생활상의 과제를 해결하려는 사전 및 사후 처방의 측면이 있다. 궁극적으로 지역사회의 정상화와 통합화를 이루어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 과정까지 포함된다. ④ 지역주민의 주도적인 참여로 복지관련 제 사회문제들을 서로의 문제로 인식하고 의사결정의 합의를 통해 민관의 역할분담을 분명히 한다. ⑤ 인간의 존엄성을 기본 철학으로 사회적 형평성의 실현을 강조하며 지역주민이나 지역사회의 공동이익 및 지역사회문제 해결이라는 관점에서 지역적 특수성을 가진다. |
최근 지역사회복지의 특성 4가지
① 예방성. 주민 참여로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대응하여 예방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② 통합성과 포괄성. 통합성은 서비스 제공자 측면, 포괄성은 서비스 이용자 측면에서 다룬다. ③ 연대성과 공동성. 주민 개인의 사적활동을 통해서는 지역사회에서 해결이 곤란한 생활상의 과제를 주민들이 서로 연대하고, 공동으로 해결하려는 특성이 있다. ④ 지역성. 지역성은 주민의 생활권역을 기초로 한 지역복지가 전개된다. 생활권역은 다양하며 지역은 생활의 장인 동시에 사회참여의 장으로서 의미를 가진다. |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의 일반적인 가치 7가지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의 일반적인 가치는 7가지이며 서비스로부터 사회정의, 존엄성, 인간의 가치, 인간관계의 중요성, 고결함, 능력이다.
지역사회에서의 실천 참여를 위한 목적.
지역사회 집단과 함께 일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사가 참여에 대한 특수한 목적을 정의해야 한다.
다음은 Weil과 Gamble(1995)이 제시하는 지역사회에서의 실천 참여를 위한 목적이다. 이 목적에는 삶의 질 개선, 인권의 확대, 옹호, 인간적인 사회 및 경제적 개발, 서비스와 프로그램 계획, 서비스 통합, 정치적, 사회적 행동, 사회정의가 포함된다.
출처
지역사회복지론(사회복지사 1급 대비) 2022. 8. 10. / 염일열, 이승현, 동문사.
지역사회복지론 최일섭 최신판 서울대학교 출판부.
장수미 등 (2015) “지역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핵심역량은 무엇인가?” 『한국 지역사회복지학』 54, pp. 1-35.
Weil, M. & Gamble, D. N. (2002). Community practice models for the 21st century. In A. R. Roberts & G. J. Greene (Eds.), Social workers' desk reference (pp.525-534).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