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의 개념과 필요성, 사회복지조직이 필요로하는 리더십의 유형과 중요성

들어가기
리더십의 개념과 필요성, 리더십 이론, 사회복지조직에서 필요한 리더십 유형, 사회복지행정에서 강조되고 있는 리더십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자.
리더십의 개념
리더십이란 leader + Ship으로 리더가 배를 이끌고 목적지에 도달하는 능력이다. 이는 한 조직체에 끼치는 영향력으로 그 단체로 하여금 하나의 목표에 도달하게 하는 과정이다.
조직의 목표달성에 있어서 조직의 구성원들이 조직과 관련된 행동에 자발적으로 종사할 수 있게끔 어떤 주어진 상황에서 공식적 직위에 있는 사람이 영향력을 행사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러한 리더십과정은 리더, 구성원, 상황적요소들의 함수 관계에 있다.
리더십은 직위와 능력의 두 가지로 정의할 수 있다.
직위로서의 리더십은 어떤 상황을 통제할 책임을 지고 지도하고 관리하는 직위이다.
능력으로서의 리더십은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 영향을 끼쳐서 지도자가 택한 길을 따라 오도록 하는 재능이
나 기술이다.
리더십에 관한 중요한 특징 2가지.
첫째,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
둘째, 어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
리더십의 필요성
사회복지조직에서 리더십이 필수불가결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다양한 전문가가 고용되어 있는 사회복지 조직에는 전문가의 자율성 욕구와 조직의 통제 욕구 사이에 부단한 긴장이 존재하며 이와 같은 긴장으로 인해 구성원들은 조직의 규칙과 규정을 준수하도록 동기부여할 리더십을 필요하다.
사회복지 서비스 분야에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환경적 압력이 증가하고 있으며 외부 요구의 이와 같은 변화를 모두 고려한 조직체계를 갖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에 적절히 대응할 리더십을 필요하다.
사회복지 서비스 분야에 있어서 새로운 기술 또는 새로운 구조의 도입과 같은 중요한 내부적 변화는 이와 같은 변화가 조직에 통합될 수 있도록 리더십을 필요하다.
사회복지 조직에서 구성원들의 전문적 목표는 조직의 목표와 완전히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구성원의 목표와 조직의 목표 사이에 가능한 한 많은 일치를 가져올 수 있도록 노력하는 데 리더십이 요구된다.
특성 이론(trait theory)은 1940~1950년대의 리더십 연구로 리더의 성격적 특성을 강조한다. 리더의 개인적 특성인 신체적, 지적능력, 성격 등의 자질을 리더가 갖추고 있으면 효과적인 리더가 될 수 있다는 이론이다.
행동이론(behavioral theory)은 1950년대 행동 과학자들에 의해 제시된 이론으로 특성이론에 대한 비판으로 등장하였다. 리더십의 중요한 측면은 리더의 특성이 아니라 다양한 상황에서 리더가 행동하는 것이다.
성공적인 리더는 그들의 특별한 리더십 행동유형에 의해 성공적이지 못한 리더와 구별된다는 것이다. 행동 이론의 연구에는 오하이오연구, 미시간연구, 관리격자 이론 등이 있다.
오하이오 연구는 리더의 행동을 구조주도행동과 배려행동으로 요약하였다. 구조주도행동은 리더가 과업을 조직화하고 정의하며 업무를 할당하고 의사소통의 망을 확립하며 업무진단의 성과를 평가하는 행동이다. 그리고 배려행동은 신뢰, 상호존경, 우정, 지원, 구성원 복지를 위한 관심을 나타내는 행동이다. 연구 결과 구조주도와 배려가 높은 리더가 하위자들의 성과와 만족을 가져오는 경향이 있다.
미시간 연구는 리더 행동을 직무중심적 리더십유형과 직원중심적 리더십유형으로 구분한다. 직무중심적 리더십유형은 세밀한 감독과 합법적이고 강제적인 권력을 활용하며, 업무계획표에 따라 실천하고 성과를 평가하는데 초점을 둔다. 직원중심적 리더십유형은 인간지향적이며 책임의 위임과 구성원의 복지, 욕구, 승진, 개인적인 성장에 대한 관심을 강조한다. 연구 결과 직원중심적 리더들이 더 높은 생산성과 직무만족도를 나타내고, 직무중심적 리더들은 더 낮은 생산성과 직무만족도를 보여준다.
관리격자 이론은 오하이오 연구와 미시간 연구의 리더십 행동의 두 가지 차원에서 기초를 두고 Blake와 Mouton (1964)은 관리격자 이론을 제시하였다. 이 격자는 횡축 (생산에 대한 관심)과 종축 (인간에 대한 관심)을 따라 각각 9개의 단계를 설정하여 리더십 유형을 분류하였다.
특히 격자의 네 모퉁이와 중앙 등 기본적인 5개의 리더십 유형을 무기력형, 컨트리클럽형, 과업형, 중도형, 팀형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결과 팀형 리더 밑에 있는 집단들이 가장 높은 성과를 보였다.
상황이론은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에 이르기까지 행동 이론의 한계를 인식하고 새로운 리더십 연구를 진행하면서 등장한 이론이다. 1970년대를 전후로 하여 학자들은 지도자를 둘러싸고 있는 상황에 분석의 초점을 두면서 주어진 상황에 따라 지도자의 능력이나 가치가 달리 평가되는 동시에 요구되는 지도자의 행태와 자질이 달라진다는 상황 이론을 주장하였다. 대표적인 학자와 이론으로 Fiedler(1967)의 상황적합적이론(contingency theory), House(1971)의 경로-목표이론(path-goal theory)을 들 수 있다.
변혁적 리더십 이론은 전환적 리더십이론이라고도 한다. 지도자가 부하들에게 비전(vision)을 제시하고 그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함께 힘쓸 것을 호소하여 부하들의 가치관과 태도의 변화를 통해 성과를 이끌어내려는 지도력에 관한 이론이다. 번스(T. Burns)는 변혁적 리더십을 리더와 부하가 상호간 더 높은 도덕적 수준을 갖도록 만드는 과정이라 정의하였다.
임파워링(empowering) 리더십 이론은 개인과 조직의 육성 및 발전을 함께 추구하는 리더십 이론으로서, 먼저 한 개인이 자기 자신에게 스스로 영향을 미치는 과정, 즉 자기 자신의 제반(정신적, 신체적, 사회적) 능력을 증진시켜 스스로 성과 지향적인 사람으로 키우는 것이다. 그리고 이후에 자기 부하를 인재로 육성하여 스스로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해 주는 리더십이다.
리더의 자질
지속성. 지도자는 사려 깊고 계획을 잘하며 적절한 제안을 하고 결정과 계획을 지속적으로 수행한다.
이해와 존중. 시간의 가치와 그 역동성을 이해하고 자신의 시간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의 시간을 존중한다.
타협. 자신이 모든 해답을 갖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인식하고 타협할 수 있어야 한다.
자유. 기관의 정책과 목표의 범위 내에서 직원들에게 가능한 한 많은 자유를 허용한다.
창의성. 리더에게는 창의성이 요구된다.
결론
리더십이란 조직의 목표달성에 있어서 조직의 구성원들이 조직과 관련된 행동에 자발적으로 종사할 수 있게끔 어떤 주어진 상황에서 공식적 직위에 있는 사람이 영향력을 행사하는 과정이다. 리더십 유형은 분절적인 것이 아니라 지시적, 위임적 리더십의 양극단 사이의 연속선상에 위치한다.
카즈(R.Katz)에 따르면 리더가 갖추어야 할 기술은 크게 전문적, 대인적 혹은 인간관계적, 의사결정 혹은 개념적 기술들로 대별할 수 있다.
사회복지행정에서는 참여적 경영과 민주적 의사결정 유형이 오랫동안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다.
사회복지조직의 관리에서는 서비스의 질과 생산성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적절하게 혼합할 수 있는 리더십유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아보았다.
참고문헌
이덕주(2015), 조직의 성과를 이끌어내는 리더십, 매경출판.
서번트리더십센터.
윤종석역(2003), 리더십은 예술이다.
이재혁외(2012), 행복의 리더십, RHK코리아
황성철외(2022), 사회복지행정론, 정민사.
김영종(2017), 사회복지행정론, 학지사.
심선경외(2014), 사회복지행정론, 공동체.
최성재외(2016), 사회복지행정론, 나남출판.
신복기외(2019), 사회복지행정론, 공동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