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사회복지행정의 개념 미시적 접근과 거시적 접근 역할

728x90
반응형

행정의 의미

 

행정이란 현대사회는 고도로 분화된 기능 수행을 위해 공식 조직에 의존한다.

 

행정은 모든 조직의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협동적 행동으로 조직에서 목표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행해지는 일련의 활동이라 할 수 있다.

 

행정은 사회복지조직뿐 아니라 기업행정, 정부행정, 교육행정 등 모든 조직에서 이루어진다.

 

행정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았는 데 사회복지 행정의 개념에 대해서도 알아보자

 

 

사회복지행정의 개념

사회복지행정의 개념은 미시적 접근과 거시적 접근으로 구분할 수 있다.

 

미시적 접근

협의의 개념으로 사회복지기관 자체에 초점을 둔다.

 

사회복지 기관의 목적이나 서비스 제공지원을 위해 기관 내에서 이루어지는 체계적 관리과정이다.

 

거시적 접근

광의의 개념으로 정책의 서비스 전달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조직적 활동에 초점을 둔다.

 

서비스 전달체계로서 조직적인 활동이나 지역사회를 비롯한 외부환경 체계 내의 사회복지조직의 활동에 중점을 두고 있다.


공공 및 민간기관을 포함하여 모든 사회복지조직의 구성원들이 수행한다.

 

사회복지정책을 사회복지서비스로 전환시키는 공적, 사적 사회복지 조직의 총체적인 활동이다.

 

① 정책의 서비스 전달 및 기관서비스/ 프로그램 제공과 관련이 있다.

② 필수적으로 사회복지조직을 기반으로 한다.

③ 조직의 사명과 목적 및 목표달성과 연계된다.

④ 직접 서비스 제공자보다는 중간관리자 이상 행정가에 의해 수행이 된다.

⑤ 조직구조, 직원, 단위사업 및 프로그램, 재정등에 걸친 협력적 활동이다.

⑥ 조직내부 업무절차, 조정, 보고 및 회의, 모니터링, 평가 등 조직내 관리기능 수행이다.

⑦ 사회복지조직과 지역사회 환경 등 외부체계와 연계된 활동이다.

 

사회복지행정의 역할

 

사회복지행정은 “정책과 사회복지실천을 매개하는 통로로 사회복지조직을 기반으로 한다.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해 조직적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수행되는 조정적, 협력적 관리 활동.”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행정은 어떠한 관리 접근법에 기반하여 다음 사항들에 대한 방법론적 지식과 기술을 요구하고 있다.

 

어떻게 조직구조와 인력을 설정하여 배치할까?.

 

어떠한 서비스와 프로그램으로 진행할까.

 

예산 등 필요한 자원은 어느 정도 규모로 어떻게 마련해야 하는가?.

 

보고와 지시, 의사결정의 절차는 어떻게 할 것인가?.

 

상기 4가지 사항에 대해 상호 조정하고 지속적 관리는 어떠한 방법으로 할 것인가?.

 

사회복지행정은 사회복지정책과 사회복지실천을 연결하는 가교적 역할을 수행한다.

 

 
사회복지행정실무의 이해
▶ 사회복지행정에 관한 내용을 담은 전문서적입니다.
저자
강순화, 이경진, 안수경
출판
신정
출판일
2019.03.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