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기
사정(assessment)은 클라이언트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와 상황을 확인하고 이해하기 위하여 →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함과 동시에 → 문제해결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이다. 클라이언트의 강점과 능력을 한층 더 북 돋는다. 클라이언트의 참여를 유도한다. 또한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가 수직 관계가 아닌 동료 관계의 파트너십을 갖는 사회복지의 과정이기도 하다. 정신건강 복지의 사정에 대해 알아보자.
정신건강복지의 사정
사회복지 사정의 목적은 클라이언트의 욕구와 해결책, 현존하는 문제, 현 상황에서의 클라이언트에 대한 이해에 도달하기위하여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가 문제를 완화하기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데 있다.
사회복지 사정에 있어 필요한 정보의 원천은 본인, 가족 등이다.
정신건강 사정을 위한 근거모델로는 생태체계적 사정모델, 강점관점 사정모델이 있다.
생태체계 사정모델은 클라이언트 중심의 포괄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중재전략을 계획하고 수행하기 위한 사정은 생태체계론적 관점에서 일련의 질문에 답하는 과정이다. 생태체계적 사정모델의 원리는 다음 6가지이다.클라이언트와 중요한 타인들이 어려움을 만들어내는 역할을 포함하여 클라이언트 문제의 본질을 파악한다. 클라이언트와 중요한 타인들의 기능을 사정한다. 클라이언트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동기를 파악한다. 문제에 관여된 환경적 요인을 사정한다. 클라이언트의 어려움을 완화하거나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외부 자원을 파악한다. 클라이언트의 자원, 기술, 강점을 파악한다.
강점관점 사정모델에 있어 강점 기반의 실천의 원칙은 다음 6가지이다.
클라이언트를 삶의 전문가로 인정한다. 개인의 성장과 변화가능성에 대한 신념을 가진다. 클라이언트의 열망이 실천의 목표가 되어야 한다. 실천의 초점을 병리가 아닌 강점에 둔다. 실천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협력적 관계이다. 지역사회 자원 개발과 연계가 사회복지사의 중요한 역할이다.
강점기반 실천의 목적은 긍정적인 자아상의 회복, 살에 대한 새로운 해석, 회복탄력성 및 역량 강화, 욕구와 희망의 충족, 삶의 꿈 실현에 있다.
심리사회적인 사정을 하는 실제적인 방법을 익히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정보를 수집한다. 인적사항, 의뢰과정 및 주 호소(chief complaint or need), 현 병력(현 문제), 과거력(Past Psychiatric History), 면접 당시 클라이언트의 정신상태 검사(MSE), 자살사고 및 시도에 대한 평가, 개인력, 전반적 기능, 가족력이 포함된다. 사정에는 심리사회적 문제, 문제해결을 위한 강점 및 약점, 활용가능한 자원체계, 사정이론, 개입 목표 및 계획 등을 정리한다.
사회복지사의 의견은 사회복지사 스스로에 대한 평가 부분으로 사례를 담당하면서 사정 준비, 내용, 긍정적 성과와 부족한 부분, 사정을 통해 성장하게 된 분야, 수퍼비젼을 받고 싶은 내용 등에 대한 의견을 기술한다.
시험 예상 문제
정신건강사회복지론 정신건강사회복지의 사정에 대한 문제풀이를 통해서 이해하자.
1. 사정의 정의에 속하지 않는 내용은?
① 사정은 클라이언트가 직면한 문제와 상황을 확인하고 이해하는 과정이다.
② 사정은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과정이다.
③ 사정은 클라이언트의 강점과 능력을 한층 더 북 돋는다.
④ 사정은 클라이언트의 참여를 유도하지 않는다.
정답은 ④ 이다. 사정 단계에서는 클라이언트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해야 한다.
2. 다음 중 심리사회적 사정에서 인적사항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정보제공자.
② 현주소.
③ 경제상황.
④ 약점.
정답은 ④ 이다. 약점은 문제해결을 위한 강점 및 약점 란에 별도로 기록한다.
3. 다음 중 심리사회적 사정에서 인적사항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성명.
② 성별.
③ 직업.
④ 강점.
정답은 ④ 이다. 강점은 문제해결을 위한 강점 및 약점 란에 별도로 기록한다.
4. 다음은 심리사회적 사정에서 정신상태 검사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사고 진행.
② 입원일.
③ 사고내용.
④ 지각.
정답은 ② 이다. 입원일은 인적사항에 기록한다.
* 참고적으로 정신상태 검사(Mental Status Examination)는 8가지가 있다.
1. 외모, 전반적 태도 및 행동.
2. 사고의 진행.
3. 사고의 내용.
4. 지각.
5. 감정반응.
6. 지적 능력.
7. 의식.
8. 병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