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정신건강사회복지론 역사적 이해와 발달과정 시험 출제 예상문제

728x90
반응형

사회복지학을 공부하는 분들 중에서 정신건강사회복지론에 관심을 가지고 계신다면 도움이 될 것 같네요. 정신건강사회복지의 역사적 이해와 각 나라의 발달과정에 대해 시험에 나올 만한 문제들을 정리했어요.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1. 정신장애인에 대한 시대별 사회적 인식 또는 처우 방법을 설명한 내용이다. 설명이 올바르지 못한 것을 선택하세요.
① 아레테우스는 정신적 불균형은 체액(흑담즙, 황담즙, 혈액, 점액) 중 한 가지 이상이 장애를 일으켜 발생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따라서 정신질환자에 대한 치료는 의사가 맡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사고는 현대 내분비학의 전조라고 할 수 있다.

② 선사시대에는 자연적 현상을 초자연적 원인으로 돌리고, 정신질환은 신이 정한 금기를 범했기 때문이라 생각하여 샤머니즘을 활용, 굿을 통해 마귀를 쫓거나 죗값을 치르는 등의 치료방법을 활용하였다.
③ 선사시대와 마찬가지로 신, 악마의 개념으로 후퇴한 시기로, 공격성, 환청, 망상을 가진 정신장애인을 악마로 여겨 고문을 하거나 엑소시즘을 시행한 것은 중세시대이다. 두드러진 양성증상이 없을 경우에는 바보 취급을 하기도 하였다. 
④ 인본주의적 개혁이 등장하여 비로소 도덕 치료를 통해 정신질환자에 대한 인간적 대우를 실시하고, 사회개혁 운동의 일환으로 정신장애인 보호시설 설립이 강화된 시기는 전환기(1700-1800년대)이다.

해설 참고)

아레테우스는 편두통을 명영하여 묘사하였다. ①은 히포크라테스에 대한 내용이다. 따라서 정답은 ①이다.

 

 

 

2. 아래 표에서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를 쓰시오.

정신질환에 대한 관심은 병리적 접근에서 시작하여 그후에는 정신질환자에 대한 치료적 개입뿐만 아니라 재활, 복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영국, 미국, 우리나라를 막론하고 정신장애인에 대한 시설의 수용과 보호에서 벗어나 탈시설화하여 지역사회정신보건의 개념이 실현된 것은 (         )의 제정을 통해서이다.

해설 참고)

지역사회정신보건은 정신보건법 등 관계법령의 제·개정을 통해 뒷받침되었다. 정답은 정신보건법이다.

 

 

3. 다음 보기들은 지역사회정신보건의 원칙(이념)에 대한 자료이다. 관계없는 답안을 선택하세요. (  ④  )

① 최소한의 규제(the least restrictive).
② 정상화 원칙(normalization).
③ 사회통합의 원칙(social integration).
④ 적절한 경계확립.

 

해설 참고)

지역사회정신보건의 원칙은 ① 최소한의 규제 원칙, ② 정상화 원칙, ③ 사회통합의 원칙, ④ 회복관점이다. 따라서 정답은 ④이다.

 

 

 

4. 정신보건 현대화 시기는 전 국민보건서비스와 사회복지서비스를 현대화하였으며 동반자적 협력관계를 강화하였다. 다음 중 정신보건서비스 현대화의 목표가 아닌 것을 선택하세요. 

① 안전한 서비스.
② 충분한 서비스.
③ 지지적인 서비스.
④ 강제적인 서비스.

 

해설 참고)

정신보건서비스의 현대화는 안전하고 충분하고 지지적인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정답은 ④이다.

반응형